부동산 투자의 수요가 빌라와 오피스텔로 점차 넓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아파트의 가격 급등으로 인해 대체제로 빌라로 몰리는 것이 아닐까 싶은데요.

빌라 실거래가 조회 방법 총정리
아파트에 비해 빌라는 폐쇄적인 시장에 있었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빌라도 실거래가 조회를 할 수 있도록 사이트를 만들었는데요. 빌라는 정확한 시세를 알아보는 것이 아파트에 비해 정말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따라서 빌라 실거래가 조회를 통해 대략적인 시세 조회를 할수 있는데 오늘 그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빌라 실거래가 조회
먼저, 빌라란 외국에서는 고급 주택, 별장 등으로 구분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다세대주택, 연립주택을 통틀어 빌라라고 합니다. 4층 이하의 건물이고 한 세대당 세대주가 다른 것을 빌라라고 하는데 아파트는 인터넷으로 쉽게 시세조회와 공급량 등을 알 수 있지만 빌라는 직접 발품을 팔아 알아보는 게 대부분이었습니다.
1.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첫 번째 빌라 실거래가 조회 방법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이용하여 알아보는 방법입니다. 국토교통부에서 직접 운영하는 사이트로 아파트, 빌라(다세대), 다가구, 단독 주택 등의 실거래가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검색창에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이라고 검색을 해준 뒤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사이트에 접속하시면 메인 화면 메뉴에 아파트 옆에 연립/다세대가 있습니다. 연립/다세대를 클릭합니다.

지도와 함께 주소 입력창이 나오는데 자신이 조회하고 싶은 연도를 선택 후 빌라의 주소를 적어주시거나 단지명을 검색합니다. 주소를 정확히 모르시면 지도상으로 클릭도 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소를 입력 후 조회를 해보시면 해당 빌라의 매매가와 전월세 실거래가가 나옵니다. 제가 검색한 빌라의 매매가는 8억 1천이며 전세 가격은 2억 8천에 거래가 되었네요. 해당 빌라의 전용면적과 계약일, 층수, 건축 연도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 디스코 빌라 실거래가 조회
두 번째 조회 방법은 디스코라는 사이트를 이용하여 시세 조회를 하는 방법입니다. 디스코도 아파트, 빌라(다세대), 오피스텔 등의 실거래가를 조회하실 수 있으며 눈으로 보기 쉽다는 점이 장점입니다.

검색창에 디스코라고 검색 후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사이트에 접속하시면 지도 옆에 검색창이 나오는데 조회하고 싶은 빌라의 주소 또는 단지명을 입력한 후 검색 버튼을 눌러줍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조회에서 조회했었던 빌라의 이름을 검색하니 바로 나오는데 선택해 보겠습니다.

해당 빌라를 클릭하시면 실거래가 조회가 가능하고 그 주변의 빌라 실거래가 조회도 가능하니 해당 지역의 빌라 시세를 유추해볼 수 있습니다.


디스코 사이트에서도 전용면적 및 전체 거래내역을 보여주는데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조회와는 조금씩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빌라는 매매 시 업다운 계약서가 많이 작성되기 때문인데 따라서 정확한 실거래가 및 시세 조회를 하기 위해서는 직접 발품을 파는 방법이 제일 정확합니다.
오늘은 빌라 실거래가 조회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렇게 실거래가를 조회한 후 주변 빌라들의 실거래가와 비교하여 어느 정도 가격대인지 알 수 있습니다.
빌라 투자자들에게는 유용한 사이트이지만, 앞서 말했듯이 빌라 시장은 폐쇄적이기 때문에 직접 임장을 통하여 알아보는 방법이 정확한 방법입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1/01/29 - [제태크정보/부동산] - 주택임대사업자 등록절차 방법 안어려움 (+ 혜택)
2021/01/21 - [제태크정보/부동산] - 무주택자 기준 확인 방법 핵심정리
'제태크정보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양가 상한제 적용지역 및 단점은 무엇일까 (0) | 2021.02.23 |
---|---|
행복주택 입주조건 쉽게 확인하기 (+ 입주자격) (0) | 2021.02.11 |
주택임대사업자 등록절차 방법 안어려움 (+ 혜택) (0) | 2021.01.29 |
무주택자 기준 확인 방법 핵심정리 (3) | 2021.01.21 |
임대사업자 등록 장단점 확실히 정리 (0) | 2021.01.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