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태크정보129

전월세 상한제, 계약갱신청구권 시작 역효과는? 전월세 상한제, 계약갱신청구권 드디어 시행 시작.. 곧 나비효과가 일어날 것.. 안녕하세요. 드디어 국회에서 전월세 상한제와 계약갱신청구권.. 통과가 되었네요. 바로 어제였죠, 7월 31일부터 시행이 되고 있고 전월세 신고제는 내년인 2021년 6월부터 시행이 된다고 합니다. 제가 여기서 정리를 해 드릴 것은 전월세상한제와 계약갱신청구권 그 두 개의 법이 통과됨으로써, 역효과는 없는지와 세입자는 과연 좋아해야만 할 일인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월세상한제, 계약갱신청구권의 의미는? 자 우선 전월세상한제와 계약갱신청구권이 뭔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전월세상한제란 쉽게 말해 전월세 임대료를 5% 이내로만 올려야 하며 지자체에 따라 5% 이하로 별도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2020. 8. 1.
임대차3법 시행시기 및 소급적용 과연 괜찮을까? 임대차3법 시행시기 및 소급적용 과연 임대인, 임차인 모두에게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임대인이라면 당연히 궁금해하실 임대차3법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임대차3법은 무엇이고 임대차3법 시행시기 및 소급적용이 된다면 어떠한 영향이 있을지와 임차인에게는 무슨 영향이 갈지 그리고 앞으로의 부동산 시장은 어떻게 흘러갈지에 대해 총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임대차3법 이란? 임대차3법에 대해 먼저 알려드리겠습니다. 이번에 710 부동산 대책으로 화제가 된 임대차3법은 정부가 전세입자의 보호를 위해 내놓은 법이라고 할 수 있겠는데요, 계약갱신청구권, 전월세상한제, 전월세신고제를 핵심으로 하는 법이며 먼저 계약갱신청구권과 전월세상한제를 8월에 시행하는것을 목표로 두고 있습니다. 1. 전월세 신고제.. 2020. 7. 29.
표준임대차계약서 양식 및 작성법 쉽게정리 표준임대차계약서 양식 및 작성법 정리 해보겠습니다. 주택임대사업자라면 작성을 하셔야 하는것이 표준임대차계약서 입니다. 저도 곧 제가 임대를 주고있는 전세집이 만기가 돌아와 중개수수료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셀프로 임대차계약서를 작성 할 예정인데요. 오늘은 표준임대차계약서 양식 및 작성법에 대해 쉽게 접근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표준임대차계약서란?표준임대차계약서란 임대인의 의무사항, 임차인의 의무사항 그리고 임대료, 임차인 거주기간 등을 기입하는 계약서로 주택임대사업자라면 반드시 작성해야할 계약서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총 6페이지로 이뤄져있으며 '렌트홈-알림마당-민원법정서식'에 들어가셔서 셀프로 다운로드도 가능합니다. 주택임대사업자 임대인이라면 이 양식을 이용하여 계약을 해야 하며 렌트홈 또는 구청에다가.. 2020. 7. 24.
710 부동산대책 취득세 시행일 언제? 710 부동산대책 취득세 시행일 도대체 언제일까요? 안녕하세요. 말도 많고 탈도 많은 710 부동산대책 내용중에 제일 관심이 많은것은 취득세 부분이 아닐까 싶습니다. 저도 그렇고 무주택자 그리고 다주택자, 임대사업자 등 제일 관심있게 보고 있는 부분이 취득세 상향 시행시기는 도대체 언제인지 궁금해 하실텐데요, 오늘 정리 해 보겠습니다. 기존 취득세는 얼마?기존의 취득세요율을 살펴보면 1주택자, 2주택자, 3주택자 까지는 1.1%의 요율로 동일했고 4주택자부터는 4%의 요율로 낮은 취득세요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사실 4주택자 4%의 취득세도 부담스럽다는 의견들이 많았긴 했습니다만 이번에 개정된 710 취득세 부분을 보시게 된다면 깜짝 놀라실겁니다. 기존 법인의 경우에는 주택 가액에 따라 취득세요율이 1~.. 2020. 7. 20.
양도소득세 비과세요건 최신내용 정리 양도소득세 비과세요건 쉽고 정확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매년 바뀌는 부동산대책때문에 양도소득세에 대한 부담이 커지실거라고 생각이 듭니다. 파는것도 내 마음대로 못팔고 무엇보다 이익을 남기기 위해서는 양도소득세를 줄이는게 중요한데요. 그럴때 중요한 양도소득세 비과세요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양도소득세란?양도소득세란 무엇인지 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양도소득세란 건물, 토지 등의 부동산을 양도할때 이익이 생기게 되면 그 이익에 대한 세금을 말합니다. 예를들어서 2억 주택을 매입하시고 나중에 매도할때 5억에 매도하셨다면 3억이란 이익이 발생하게 되는데 3억에 대한 세금을 납부하시는게 양도소득세 입니다. 요즘같이 부동산정책이 수시로 바뀔때는 양도소득세 요율 및 비과세요건이 어떻게 되는지 잘 모르시는분들.. 2020. 7. 18.